주식 인사이트

마녀공장, IPO 기업분석

히말라야_ 2023. 5. 29. 20:08
반응형

마녀공장 로고

 

마녀공장 청약이 1265.33:1을 기록했습니다.

 

청약증거금으로 5조 가량이 몰렸습니다.

 

얼어붙어있던 IPO 시장에 오랜만에 활황인 것 같습니다.

 

예전 대어, 빅히트의 약 1/10정도의 금액입니다.

 

마녀공장 기업에 대해 분석해보겠습니다.

 

1. 일정

 

마녀공장은 5월 25~26일에 청약을 완료했습니다.

 

환불일은 5월 31일입니다.

 

상장일은 6월 8일 목요일입니다.

 

2. 청약 비중

dart 공시

 

일반청약자에게 25%, 기관에 75%가 배정됩니다.

 

모집하는 주식 수가 200만 주 밖에 안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회사가 발행할 수 있는 총 주식의 수는 100,000,000주입니다.

 

5월 22일 기준 발행한 총 주식 수는 14,318,260주입니다. (엘앤피코스메틱(주) 76.25%)

 

 

3. 자금조달 목적

 

IPO의 핵심은 자금조달 목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자금으로 회사를 성장시키는데 목적이 있는지, 아니면 IPO 자금 자체가 목적인지에 따라 주가 변동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마녀공장의 경우 마케팅 자금(모델 및 바이럴) 및 브랜드 확장에 사용한다고 합니다.

 

4. RISK ASSESSMENT

 

마녀공장이 가질 수 있는 리스크를 찾아보겠습니다.

 

DART 공시에 여러 위험을 게시해 두었고, 그중 핵심적인 위험요인을 분석하도록 하겠습니다.

 

1) 사업 RISK: 특정 국가 매출 집중, 중국 내 K-BEAUTY 쇠퇴

마녀공장의 경우 중국보다 일본매출에 대한 비중이 큽니다.

 

불매운동과 같은 일이 벌어지지만 않는다면 큰 타격은 없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중국 내 K-BEAUTY 쇠퇴에서는 심각한 수준의 타격을 입진 않을 것입니다.

 

즉 한일관계 악화라는 리스크를 제외하곤 크게 문제가 없습니다.

 

반면 동남아 등 다른 국가로의 진출을 한다면 수익을 낼 수 있는 가능성은 더 크다고 생각합니다.

 

2) 회사 RISK: 주요 제품에 대한 매출 편중 위험, 외주 생산 관련 위험

 

마녀공장의 경우 자체 생산시설이 없기 때문에 생산업체와의 계약이 틀어질 경우 제품을 조달하지 못하게 되고 이는 브랜드의 신뢰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대표 제품 3가지에서 56.1%의 매출이 발생하였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 제품을 조달받지 못할 경우 회사가 큰 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기타 RISK: 상장 이후 유통가능 주식 수 및 매도가능물량으로 인한 위험

해당 건에 대해서는 dart 공시 내용으로 대체합니다.

 

 

특정 제품에 몰려있는 매출을 분산시키지 못한다면, 큰 성장을 하긴 힘들 것이라 봅니다.

 

하지만 새로운 판로를 만들어 갈 수 있다는 점에서 성장가능성 자체는 크다고 생각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