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 GPT 열풍 이후 구글은 경영에 심각한 위기감을 느꼈습니다.
이에 매우 급하게 Bard를 선보였지만, 당시 잘못된 답변을 함으로 인해 주가가 하락하기도 했습니다.
우선 GPT에게 GPT와 Bard의 차이점에 대해 물어보았습니다.
구글 Bard와 ChatGPT는 모두 인공지능 언어 모델이지만, 구글 Bard와 OpenAI의 ChatGPT에는 몇 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점을 고려하여, 구글 Bard와 ChatGPT는 각각 다른 목적과 활용을 가지고 있으며, 개발자 및 사용자는 자신의 요구에 맞는 모델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Bard에 같은 질문을 던져 보았습니다.
구글 바드와 채팅 GPT는 모두 대규모 언어 모델(LLM)로, 방대한 텍스트 및 코드 데이터 세트로 훈련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창의적인 텍스트 형식을 생성하고, 언어를 번역하고, 다양한 종류의 창의적인 콘텐츠를 작성하고, 유익한 방식으로 질문에 답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두 모델 사이에는 몇 가지 주요 차이점이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구글 바드와 채팅 GPT 중 어떤 모델을 선택할지는 특정 요구 사항에 따라 다릅니다. 저렴하고 더 많은 사용자에게 액세스 할 수 있는 모델을 찾고 있다면 ChatGPT가 더 나은 선택입니다. 더 포괄적이고 최신의 응답을 제공하는 모델을 찾고 있다면 Bard가 더 나은 선택입니다.
대답의 차이가 보이시나요?
GPT의 경우 정답을 제시해주기 보다는 선택지를 나열하는 느낌입니다.
반면 Bard의 경우 경우에 따라 어떤게 더 나은선택이라는 결과를 제시해 주는 느낌입니다.
사람에게 오류를 일으킬 수 있는 것은 Bard가 더 크지만,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는 사람은 정답지를 제시해 주는 Bard가 더 효율적일 것 같습니다.
예시로 질문을 하나 해보았습니다.
해당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Bard의 경우, 투자 성향에 따라 어떤 주식을 사야 하는지 선택지를 제시해 줍니다.
반면 Chat GPT의 경우, 기업에 대한 정보만 제공합니다.
그렇다면 Bard와 GPT를 어떤 식으로 이용하는게 주식투자하는데 도움이 될까요?
전에 했던 Risk assessment를 활용해보도록 합시다.
2023.04.10 - [주식 인사이트] - Risk assessment: 급등주에 올라타지 않는 이유
Risk assessment: 급등주에 올라타지 않는 이유
오늘은 Risk assessment라는 개념을 통해 급등주 매수가 얼마나 위험한지, 그리고 큰 수익을 가져다주기 힘든지에 대해 작성하겠습니다 Risk assessment는 위험성 평가를 의미합니다. 내가 하려는 일에
wideperspective.tistory.com
2023.05.04 - [주식 인사이트] - Risk assessment: 반독점기업에 함부로 투자하지 않는 이유
Risk assessment: 반독점기업에 함부로 투자하지 않는 이유
2023.04.10 - [경제 인사이트] - Risk assessment: 급등주에 올라타지 않는 이유 급등주에 올라타지 않는 이유: Risk assessment의 관점 오늘은 Risk assessment라는 개념을 통해 급등주 매수가 얼마나 위험한지,
wideperspective.tistory.com
Risk Assessment를 잘 모르시는 분들은 해당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 정도로 | |
리스크를 정리해 볼 수 있습니다.
해당 리스크를 제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이제 생각을 해보겠습니다.
Tool | Risk | Measures (대책) |
Chat GPT | 1. 정보가 최신이 아니라 오류가 존재할 수 있다. 2. 본인이 생각하는 정답을 제시해주지 않는다. |
1. 크롬웹스토어를 통해 최신 정보를 삽입하여 GPT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1.1 검색을 할 때 정보의 출처를 묻고 확인해본다. 2. 해당 정보를 바탕으로 Bard에 질문을 올려 구체화한다. |
Bard | 1. 정답지를 제시해주지만 소위 귀가 얇은 사람은 틀린 답을 믿고 그대로 투자할 수 있다. 2. 학습데이터가 방대하여 잘못된 답변을 이끌어 낼 수 있다. |
1. Bard를 사용하지 않고 GPT를 사용한다. 1.1 답변에 대한 출처를 첨부하도록 명령한다. 2. 답변에 대한 정보 출처를 다시 확인한다. |
제가 예시로 한 Risk Assessment입니다.
해당 Risk에 대해 더 좋은 방안을 고안하고 그 방안을 토대로 본인에 맞는 투자를 진행하면 됩니다.
개인적으로 GPT보다는 Bard의 성능이 더 뛰어나다고 느껴졌습니다.
미국 주식이 상장폐지를 피하는 방법: 니콜라, APPH의 미래 (0) | 2023.06.14 |
---|---|
우크라이나 댐 붕괴로 인한 미래 재앙 (0) | 2023.06.12 |
국민연금 투자 현황 확인하기: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1) | 2023.06.06 |
#2 개인 공매도 하는 방법 (삼성증권) (0) | 2023.05.31 |
꼭 알아야 할 인사이트: 주식 내부자거래 확인방법 (0) | 2023.05.30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