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Risk assessment: 반독점기업에 함부로 투자하지 않는 이유

주식 인사이트

by 히말라야_ 2023. 5. 4. 00:53

본문

반응형

2023.04.10 - [경제 인사이트] - Risk assessment: 급등주에 올라타지 않는 이유

 

급등주에 올라타지 않는 이유: Risk assessment의 관점

오늘은 Risk assessment라는 개념을 통해 급등주 매수가 얼마나 위험한지, 그리고 큰 수익을 가져다주기 힘든지에 대해 작성하겠습니다 Risk assessment는 위험성 평가를 의미합니다. 내가 하려는 일에

wideperspective.tistory.com

 

 

Risk Assessment (위험성평가) 개념에 관한 내용은 이전 글을 읽고 오신다면 도움이 됩니다.

 

ASML이라는 기업, 다들 들어보셨을 겁니다.

 

EUV 노광장비를 생산하는 기업으로써, 해당 회사의 장비가 없다면 세밀한 반도체를 생산해 낼 수 없습니다.

 

ASML 장비 확보는 반도체 생산량을 좌우하기 때문에, 삼성전자와 TSMC는 장비 확보에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ASML은 경기 불황에도 안정적인 고객 확보가 가능합니다.

 

또한 2등 기업과의 기술격차도 어마어마 하기 때문에, 경쟁자가 생길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비슷한 예시로는 검색시장을 거의 독점하고 있는 구글이 있었습니다.

 

구글은 검색시장의 압도적 강자로 2위 Bing

 

2020년 기준 구글은 검색엔진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이 분야에서 구글을 따돌리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웠습니다.

 

여기서 Risk assessment를 해보겠습니다.

기업의 상황   Risk 발생 예시
해당 분야에서 독점적인 지위를 가진다. -> 점유율의 증가를 기대하기 어렵다.
해당 분야의 지속성 -> 신기술 발전으로 인한 산업의 이동

첫째, 구글의 경우, 인터넷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사용자가 사용하기 때문에, 중국 시장이 개방되지 않는 이상 이 분야에서의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 구글의 성장동력 저하

--> 충분한 양의 Big data 활용을 통한 신사업 확장, 극복가능성

 

둘째, 검색 엔진을 다른 방법으로 대체될 수 있습니다.

-> Chat GPT의 등장으로 현실화

--> 새 챗봇(바드) 출시를 통한 라이벌 제거

---> 광고 수익의 감소로 이어짐

 

Risk Assessment 결과입니다.

 

첫번째 리스크의 경우, 노력을 통해 극복 가능하다 판단됩니다.

실제로 방대한 양의 빅데이터를 통해 구글은 사람들이 찾는 물품을 광고에 적용함으로써 큰 수익을 냈습니다.

 

하지만 두 번째 리스크의 경우 바드를 출시했지만 Chat GPT 성능에 비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성공하더라도 광고수익의 감소를 감당해야 합니다.

 

구글이 해당 리스크를 감당할 수 있다 -> 구글 투자

해당 리스크를 해결하기 힘들다 -> 투자 금액 축소

리스크를 해결하지 못할 것이다 -> 투자 중

 

만약 구글이 당장의 광고수익을 위해 챗봇에 대응책을 내지 않는다면 구글에 투자할 이유가 더 없을 거라 생각합니다.

다행이 구글은 해당 상황이 심각함을 인지하고 있고 이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 중이기에, 해당 리스크를 극복해 나갈 것으로 생각됩니다.

 

하지만 만약에 구글이 대응책을 내지 않는다면 어떤 변화를 맞이할까요?

아래 글에서 내용을 확인할 수있습니다. 

 

https://wideperspective.tistory.com/63

 

구글의 미래 예측 (feat 필름업계의 강자 코닥의 몰락)

chat gpt의 등장으로 인해 구글은 큰 위기를 맞이했습니다. 절대로 대체할 수 없을것만 같았던 검색엔진의 대체제가 등장했기 때문입니다. 현재 구글은 검색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wideperspective.tistory.co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