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를 함에 있어 단 한개의 사이트만 확인할 수 있다면 저는 무조건 Fred를 고를 것입니다.
그만큼 Fred는 주식투자에 핵심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주식은 큰손들에 의해 움직입니다.
이런 큰손들이 가장 중요시 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가 바로 Fred 입니다. (운영 주체가 연준)
Fred는 Federal Reserve Economic Data의 약자입니다.
이는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이 관리하는 광범위한 경제 및 금융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사이트 입니다.
FRED 데이터베이스는 연구원, 정책 입안자 및 투자자가 널리 사용하는 리소스로 인플레이션, 고용, GDP, 이자율 등 다양한 경제 지표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POPULAR SERIES가 핵심입니다.
어떤 데이터를 최근에 가장 많이 집중하는지 입니다.
현재 가장 많은 주목을 받는 데이터는 장단기 금리차(10년물-2년물) 입니다.
장단기 금리차 역전은 예전부터 경제침체를 의미하면서도 주식 저점을 의미했었습니다.
현재 장단기 금리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장단기 금리차에 대한 내용은 추후 게시글로 다룰 예정입니다.
다음으로 부도위험지표입니다.
현재 5번째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것을 선정한 이유는 이 지표가 해당 사이트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이기 때문입니다.
부도위험이 증가하기 시작한다면, 그 지점에서 주가는 크게 하락하게 됩니다.
2020년 코로나19 초기, 부도위험이 아주 큰 폭으로 상승 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부도위험 지표가 고점이 된 시점이 바로 주식의 저점이었습니다.
즉, 앞으로 큰 위기가 발생하였을 때, 부도위험 지표가 가장 고점을 찍을 것이고 그 지점에서 주식투자를 한다면 큰 수익을 거둘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당시 많은 투자자들은 저 지표를 보지 않았기에 더큰 위기가 올것이라 생각하며 투자를 미뤘습니다.
앞으로 큰 위기가 발생할 거라 생각한다면 꼭 부도위험 지표를 열어보시기 바랍니다.
용어 설명
1. M2 money stock
시장에 돈이 얼마나 풀렸는지 알려주는 지표
2. 10-Year Treasury Constant Maturity Minus 2-Year Treasury Constant Maturity
채권 10년물 금리와 2년물 금리 차이
3. Unemployment Rate
실업률 지표
4. ICE BofA US High Yield Index Option-Adjusted Spread
부도위험 지표 (High Yield) -> 고위험 채권 금리
5. Assets: Total Assets: Total Assets (Less Eliminations from Consolidation): Wednesday Level
연준 자산 지표
추후 지표 하나하나 설명 예정입니다.
꼭 읽어야 할 필독도서 #1. Zero to one (1) | 2023.04.11 |
---|---|
Risk assessment: 급등주에 올라타지 않는 이유 (1) | 2023.04.10 |
미국의 힘의 원천: 페트로 달러 (0) | 2023.04.05 |
달러 패권에 도전하는 중국, 이로 인한 경제 지도의 변화 (0) | 2023.04.03 |
구글의 미래 예측 (feat 필름업계의 강자 코닥의 몰락) (0) | 2023.03.30 |
댓글 영역